2013年12月03日
6 천자문을 배워 봅시다.
6 천자문을 배워 봅시다.
오늘은 여섯 번째로
金生麗水하고 玉出崑岡이라.
(금생여수하고 옥출곤강이라.)
금은 여수라는 지방에서 나오고, 옥은 곤륜산에서 나온다.
한자익히기
金(쇠 금) 生(날 생) 麗(고울 려) 水(물 수)
玉(구슬 옥) 出(날 출) 崑(뫼 곤) 岡(뫼 강)
고대 중국인들은 금(金)과 옥(玉)을 보물 가운데에서도 으뜸으로 여겼습니다.
중국 고전(古典)의 기록을 보면, 형남(荊南)과 함께
사금(沙金)의 명산지로 자주 등장하는 곳이 여수(麗水)입니다.
여수(麗水)는 현재 중국 남서부 운남성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인
여강납서족(麗江納西族)의 자치현으로 흐르는 북쪽 금사강(金沙江)을 말합니다.
우리 속담에 '사람은 나면 서울로 보내고,
망아지는 나면 제주도로 보내라'고 했듯이,
'金生麗水(금생여수 : 금은 여수에서 나온다)'가 여기에 실린 이유는
중국 대륙의 여러 금산지(金産地) 중에서도
이곳을 으뜸으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금(金)의 명산지가 여수라면 옥(玉)의 명산지는 단연 곤륜산(崑崙山)입니다.
현재 중국 강소성 강도현 서북쪽에 있는 곤륜산은
예로부터 황하(黃河)의 발원지라고 하여 성스러운 산으로 숭배되었습니다.
고대 중국인들은
고대 그리스인들이 신들은 올림푸스 산에서 산다고 생각한 것처럼,
곤륜산을 신들이 머무는 곳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야기보다 곤륜산이 사람들을 끈 이유는,
이곳이 값비싼 보옥(寶玉)의 명산지였기 때문입니다.
특히 곤륜산의 보옥(寶玉)과 관련해서는
'화씨지벽(和氏之璧)'이라는 재미있는 고사가 있습니다.
춘추전국시대, 중국 대륙 남쪽의 초(楚)나라에 변화(卞和)라는 사람이
곤륜산에서 옥(玉 : 원석)을 캐어 초나라 여왕(厲王)에게 바쳤습니다.
그런데 이 옥을 감정한 궁중의 옥공(玉工)들이
모두 "단지 평범한 돌에 불과하다"고 하여, 변화는 임금을 속였다는 죄로
왼쪽 발목을 자르는 형벌을 당했습니다.
여왕이 죽고 무왕이 즉위하자, 변화는 다시 옥을 바쳤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도 궁중의 옥공들이 돌이라고 감정을 했습니다.
이로 인해 변화는 남은 오른쪽 발목까지 잘리게 되었습니다.
무왕 또한 죽고 문왕이 즉위하자, 변화는 우연한 기회를 얻어 다시 옥을 바쳤습니다.
문왕은 옥공들에게 옥을 감정하게 하는 대신 다듬게 했는데,
이렇게 하자 값비싸고 보배로운 구슬이 나왔다고 합니다.
이때부터 이 구슬은 '화씨지벽(和氏之璧)'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이 구슬은 그 보배로운 값어치 때문에
훗날 조(趙)나라와 진(秦)나라 간에 전쟁 위기를 불러오기도 했습니다.
霧島韓国語教室 鹿児島韓国語教室 韓国語教室 韓国語 教室
오늘은 여섯 번째로
金生麗水하고 玉出崑岡이라.
(금생여수하고 옥출곤강이라.)
금은 여수라는 지방에서 나오고, 옥은 곤륜산에서 나온다.
한자익히기
金(쇠 금) 生(날 생) 麗(고울 려) 水(물 수)
玉(구슬 옥) 出(날 출) 崑(뫼 곤) 岡(뫼 강)
고대 중국인들은 금(金)과 옥(玉)을 보물 가운데에서도 으뜸으로 여겼습니다.
중국 고전(古典)의 기록을 보면, 형남(荊南)과 함께
사금(沙金)의 명산지로 자주 등장하는 곳이 여수(麗水)입니다.
여수(麗水)는 현재 중국 남서부 운남성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인
여강납서족(麗江納西族)의 자치현으로 흐르는 북쪽 금사강(金沙江)을 말합니다.
우리 속담에 '사람은 나면 서울로 보내고,
망아지는 나면 제주도로 보내라'고 했듯이,
'金生麗水(금생여수 : 금은 여수에서 나온다)'가 여기에 실린 이유는
중국 대륙의 여러 금산지(金産地) 중에서도
이곳을 으뜸으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금(金)의 명산지가 여수라면 옥(玉)의 명산지는 단연 곤륜산(崑崙山)입니다.
현재 중국 강소성 강도현 서북쪽에 있는 곤륜산은
예로부터 황하(黃河)의 발원지라고 하여 성스러운 산으로 숭배되었습니다.
고대 중국인들은
고대 그리스인들이 신들은 올림푸스 산에서 산다고 생각한 것처럼,
곤륜산을 신들이 머무는 곳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야기보다 곤륜산이 사람들을 끈 이유는,
이곳이 값비싼 보옥(寶玉)의 명산지였기 때문입니다.
특히 곤륜산의 보옥(寶玉)과 관련해서는
'화씨지벽(和氏之璧)'이라는 재미있는 고사가 있습니다.
춘추전국시대, 중국 대륙 남쪽의 초(楚)나라에 변화(卞和)라는 사람이
곤륜산에서 옥(玉 : 원석)을 캐어 초나라 여왕(厲王)에게 바쳤습니다.
그런데 이 옥을 감정한 궁중의 옥공(玉工)들이
모두 "단지 평범한 돌에 불과하다"고 하여, 변화는 임금을 속였다는 죄로
왼쪽 발목을 자르는 형벌을 당했습니다.
여왕이 죽고 무왕이 즉위하자, 변화는 다시 옥을 바쳤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도 궁중의 옥공들이 돌이라고 감정을 했습니다.
이로 인해 변화는 남은 오른쪽 발목까지 잘리게 되었습니다.
무왕 또한 죽고 문왕이 즉위하자, 변화는 우연한 기회를 얻어 다시 옥을 바쳤습니다.
문왕은 옥공들에게 옥을 감정하게 하는 대신 다듬게 했는데,
이렇게 하자 값비싸고 보배로운 구슬이 나왔다고 합니다.
이때부터 이 구슬은 '화씨지벽(和氏之璧)'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이 구슬은 그 보배로운 값어치 때문에
훗날 조(趙)나라와 진(秦)나라 간에 전쟁 위기를 불러오기도 했습니다.
霧島韓国語教室 鹿児島韓国語教室 韓国語教室 韓国語 教室
Posted by パクと韓国語 at 09:35│Comments(0)
│韓国語を勉強しよ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