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年12月06日
8 천자문을 배워 봅시다.
8 천자문을 배워 봅시다.
오늘은 여덟 번째 이야기입니다.
왜 중국인들은 오얏과 사과, 겨자와 생강을 소중하게 여겼을까?
果珍李奈하고 菜重芥薑이라.
(과진이내하고 채중개강이라.)
과일 중에서는 오얏과 사과를 귀하게 여기고,
채소 중에서는 겨자와 생강을 소중하게 여긴다.
한자익히기
果(과실 과) 珍(보배 진) 李(오얏 리) 柰(능금 내)
菜(나물 채) 重(무거울 중) 芥(겨자 개) 薑(생강 강)
중국인들이 오얏과 사과를 귀하게 여긴 이유는 무엇일까요?
'오얏'은 자두를 말합니다.
자두는 열매가 많이 열릴 뿐 아니라 식용과 건강에도 좋습니다.
요즘에도 웰빙 식품 대접을 받고 있지 않습니까?
중국에서 오얏은 복숭아, 살구, 매실과 함께 봄철 군주께 바치는 진상품이었고,
또한 중국인들에게 복숭아꽃과 오얏꽃은 대표적인 봄의 꽃이었습니다.
춘추시대 진(晋)나라의 왕융(王戎)은 좋은 오얏 품종을 갖고 있었는데,
다른 사람들이 이 종자를 널리 퍼뜨릴까 봐 두려워
그 씨에 구멍을 뚫어 표식을 해 놓았을 정도로 귀하게 여겼다고 합니다.
오얏이 당시 중국인들에게 얼마나 귀하게 여겨졌던 과일이었는지를
알려주는 일화라고 하겠습니다.
'내(柰)'는 버찌 혹은 능금이라고 하는데,
이해하기 쉽게 사과로 보면 될 듯합니다.
단 맛은 마름 열매와 같고, 말린 과자로도 만들어 먹었습니다.
예로부터 '아침 사과 하나는 황금과도 같다'고 하지 않았던가요?
사과는 고대부터 중국인들에게 그 맛과 뛰어난 건강 효과로 인해
진귀한 과일로 사랑받아왔습니다.
겨자와 생강은 식품의 맛을 돋우어주는 양념의 역할도 하지만,
약용 식물로도 널리 쓰였습니다.
특히 겨자는 위장을 따뜻하게 해주고
사람의 기운을 원활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고,
생강은 정신을 맑게 해줄 뿐 아니라
몸의 나쁜 냄새나 몸 속의 더러운 찌꺼기를 없애줍니다.
겨자와 생강의 쓰임새가 다양하고
또 그 약용 효과도 탁월해 예로부터 중국인들은
수많은 채소 가운데에서도 이 두 가지를 특히 소중하게 여겼습니다.
霧島韓国語教室 鹿児島韓国語教室 韓国語教室 韓国語 教室
오늘은 여덟 번째 이야기입니다.
왜 중국인들은 오얏과 사과, 겨자와 생강을 소중하게 여겼을까?
果珍李奈하고 菜重芥薑이라.
(과진이내하고 채중개강이라.)
과일 중에서는 오얏과 사과를 귀하게 여기고,
채소 중에서는 겨자와 생강을 소중하게 여긴다.
한자익히기
果(과실 과) 珍(보배 진) 李(오얏 리) 柰(능금 내)
菜(나물 채) 重(무거울 중) 芥(겨자 개) 薑(생강 강)
중국인들이 오얏과 사과를 귀하게 여긴 이유는 무엇일까요?
'오얏'은 자두를 말합니다.
자두는 열매가 많이 열릴 뿐 아니라 식용과 건강에도 좋습니다.
요즘에도 웰빙 식품 대접을 받고 있지 않습니까?
중국에서 오얏은 복숭아, 살구, 매실과 함께 봄철 군주께 바치는 진상품이었고,
또한 중국인들에게 복숭아꽃과 오얏꽃은 대표적인 봄의 꽃이었습니다.
춘추시대 진(晋)나라의 왕융(王戎)은 좋은 오얏 품종을 갖고 있었는데,
다른 사람들이 이 종자를 널리 퍼뜨릴까 봐 두려워
그 씨에 구멍을 뚫어 표식을 해 놓았을 정도로 귀하게 여겼다고 합니다.
오얏이 당시 중국인들에게 얼마나 귀하게 여겨졌던 과일이었는지를
알려주는 일화라고 하겠습니다.
'내(柰)'는 버찌 혹은 능금이라고 하는데,
이해하기 쉽게 사과로 보면 될 듯합니다.
단 맛은 마름 열매와 같고, 말린 과자로도 만들어 먹었습니다.
예로부터 '아침 사과 하나는 황금과도 같다'고 하지 않았던가요?
사과는 고대부터 중국인들에게 그 맛과 뛰어난 건강 효과로 인해
진귀한 과일로 사랑받아왔습니다.
겨자와 생강은 식품의 맛을 돋우어주는 양념의 역할도 하지만,
약용 식물로도 널리 쓰였습니다.
특히 겨자는 위장을 따뜻하게 해주고
사람의 기운을 원활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고,
생강은 정신을 맑게 해줄 뿐 아니라
몸의 나쁜 냄새나 몸 속의 더러운 찌꺼기를 없애줍니다.
겨자와 생강의 쓰임새가 다양하고
또 그 약용 효과도 탁월해 예로부터 중국인들은
수많은 채소 가운데에서도 이 두 가지를 특히 소중하게 여겼습니다.
霧島韓国語教室 鹿児島韓国語教室 韓国語教室 韓国語 教室